•통합패널의 제어 및 상태 수집을 위한 RTU
•자동, 반자동, 수동 등 3가지 제어모드 사용이 가능하며, 장치제어 상태값 등 자동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네트워크 기반 장치.
주요 특징.
•MCU : RP2040(133MHz 듀얼 Arm® Cortex-M0+)
•DO : 40채널
•DI : 8채널
•AI : 12비트 ADC 8채널
•AO : 4채널
•통신 : 모듈(이더넷, RS485, TTL, Wifi, 로라)
•기타 : 웹서버 설정, 2.8인치 컬러 터치 디스플레이
•규격 : 155*110*60, 플라스틱
주요기능
1depth | 2depth | 기능정의 | 내용 |
로그인 | 사이트 접속 권한 체크 | o 표준 준수 웹 브라우저(크롬 권장)에서 접속주소 입력하여 사이트 접속 o 초기 아이디/ 비밀번호 (사용환경 참조) o 사용자 정보 변경(환경설정>사용자 메뉴 참조) | |
통합상황판 | 관제 대상 사이트 통합 모니터링 | o 영상 및 수집센서 기반의 통합관제 화면 -작물별로 그룹화된 관제화면 구성 - 센서 및 영상데이터 실시간 관제 | |
관제 | GPS 위치 기반 경보 중심의 관제 관리 | o GPS 위치 기반 관리 사이트 관제 -지도 또는 위성사진 기반으로 사이트를 표시한 후 경보 내용을 실시간으로 표시. 해당내용 클릭하면 대상 사이트 정보 조회 - 경보내용. 사이트 정보, 계측 데이터를 지도 기반으로 한화면에서 표시 | |
빅데이터분석 | 실시간 수집 | 관제대상 사이트의 환경정보 자동 수집 | o 사이트별로 센서정보 통합관제 -사이트로부터 수집된 환경정보를 실시간 표시 -수집된 환경정보는 그래프로 표시 |
생장DB기반 분석 | 수집된 빅데이터 분석 | o 사이트별로 센서정보를 실시간 조회한 후 생장DB 기반으로 분석 -관리 사이트에 수집된 실측 환경정보를 전문가가 생성한 생장DB와 비교하여 분석 o 센서 수집 시간 대의 제어수행 결과값도 함께 조회 -실측 환경정보가 생장DB의 권장 설정값을 벗어날 경우 제어기 상태를 조회, 원인 분석 | |
실측값 비교분석 | |||
적산값 비교분석 | |||
증가량 비교분석 | |||
생육분석 | 생육일지 | 생육작업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할 수 있도록한 영농관리 일지 | o 일자별 생육작업 내용 기입(작업사진 업로드 및 검색기능) o 전국 지역별 기상청 날씨 연동 o 관리 항목 : 작업구분, 제목, 작업일, 날씨, 작업내용, 첨부파일(사진, 문서 파일 등), 검색 태그 |
생육조사 | 작물 생장상태 분석을 위한 생육상태 기록 | o 작물별 생장상태 분석을 위한 조사내용 모바일 입력-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조사내용 및 사진 업로드 기능 o 작물별 생육조사표 항목 동적 생성 o 생육 조사 데이터 그래프 분석 | |
생육예측 | 생육조사 결과 DB 기반의 딥러닝 생육예측 | o 생육조사결과를 딥러닝에 필요한 DB로 포팅 o 텐서플로 기반 케라스 환경으로 개발된 웹 인터페이스를 통한 학습진행(회귀 및 분류) 및 예측 | |
영상분석 | 실시간관제 | 관제 대상 사이트에 설치된 CCTV 영상 실시간 통합관제 | o 관제 대상 사이트에 설치된 CCTV 영상 실시간 통합관제 -사이트에 설치된 생장관찰 CCTV 영상에 대한 실시간 관제. PTZ 제어 등 카메라 조작 기능은 차단 |
생장영상조회 | 생장영상조회 | o 관제 대상 사이트 CCTV에서 촬영된 생장영상 사진과 사진 촬영 당시 센서값을 함께 실시간 조회 -온라인 컨설팅 수행시 해당 관제 대상 사이트에 기록된 생장영상을 실시간 조회 가능 | |
생장영상분석(web만) | 생장영상 수치 분석 | o 관제 대상 사이트에서 수집되는 생장영상의 수치분석 -영상분석을 통해 관제 대상물의 크기 등을 파악 | |
(옵션)병충해 영상분석 | 병충해 영상수집 및 밀도 파악 | o 병충해 영상 수집 및 조회 o 단위 면적당 병충해 개체수 검출 | |
(옵션)외부인 침입탐지 | 사람 패턴 인식 및 경보 | o CCTV 영상을 토대로 AI 기반의 인체 패턴 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경보 발생 o 스마트폰에 탐지된 사진을 첨부하여 경보 발생 | |
생장DB | DB생성 | 전문가 분석자료 기반의 생장DB 입력 생성 | o 연구결과 등에 따라 도출된 최적의 생장 조건값을 제어장치가 이해 할 수 있도록 제어 프로파일 형태로 만드는 기능 - 메트릭스 방식 생성, 그래프 방식 생성 등 2가지 모드 제공 |
DB추출 | 관제 대상 사이트의 실증 데이터 기반 생장DB 자동 추출 | o 사이트에서 수집된 생장 조건값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생장DB를 추출하는 기능 - 그래프 방식 생성 모드만 제공 | |
컨설팅 | 컨설팅 응답 | 컨설팅 온라인 접수 및 응답 | o 중앙관제센터 연동 스마트팜에서 요청한 컨설팅 요청에 대한 실시간 응답 - 컨설팅 요청시 스마트폰으로 알림경보 전송 o 응답은 문의하기 및 실시간상담 등 2가지 방식으로 진행 - (문의하기)게시판 기반 온라인 컨설팅 -(실시간상담) 영상(WebRTC) 기반의 화상 컨설팅. 화상 컨설팅 중 문제의 영상을 사진 형태로 갈무리 o 웹과 모바일에서 컨설팅 응답 수행 |
컨설팅 기록 | 컨설팅 내용 기록 및 관리 | o 컨설팅 기록 저장 및 조회 | |
경보 | 농가경보현황 | 관리 사이트 경보 통합 실시간 관제 | o 사이트별 발생 경보 통합관제 - 각 사이트별 경보 발생 정보 취합 - 통신이상 관제(모뎀 접속오류, 서버 접속오류, 웹서버 접속오류, DB서버 접속오류) -사이트 담당자가 발생 경보에 대해 적시 대응을 하지 못할 경우 중앙관제센터 관리자가 해당 사이트 담당자에게 비상연락을 할 수 있도록 조치 o 관리 사이트에서 경보발생시 경보 내용이 중앙관제센터 관리자에게도 전달되도록 설정 가능 - 경보방식 : 앱 Notification(음성통보 포함) o 경보 검색 기능 |
경보차트 | 경보 분석 및 경보 현황 시각화 | o 사이트별로 발생 경보 내용을 그래프로 표시 -사이트별 / 형태별 / 시간별 경보 발생비율 | |
환경설정 | 사용자관리 | 사용자에 대한 사이트 접속권한 설정 | o 인가된 사람만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사용자 계정을 생성 및 관리하는 기능 o 권한설정 기능 - 사용등급 권한설정(일반사용자,게스트), 구분(일반, 컨설턴트) |
사이트관리 | 관제 대상 사이트의 등록 및 관리 | o 주소, 접속URL, 착공/준공일 등 관련 정보 입력 및 모바일앱 다운로드, 기타 정보설정 파일 다운로드 기능 o 관리대상 사이트 DB 자동 연동 및 동기화 o 사이트별 사용자 정보 동기화 | |
장비관리 | 태그등록 | o 시리얼 기준 장비 관리 - 장치 추가시 장치에 부착된 시리얼번호를 등록 o 장비별 속성관리 - 센서 GW 관리 : GW에 속한 개별 장치 속성 등록(사용여부, 설치위치, 설비명 등록) - 제어 GW 관리 : GW에 속한 개별 장치 속성 등록(사용여부, 설치위치, 제어타입, 설비명 등록) | |
태그관리 | o 태그 설정 관리(사용여부, DB저장 여부, 값 지연, 데이터 종류, 설치 위치, 설비 속성, 아이콘, 태그 이름, 경보 발생시 전송내용, 화면 표시 이름 등 설정) o 태그 검색(위치별, 설비별, 사용여부, DB 저장 여부, 경보 정보 등) o 경보 임계값 관리(1,2,3 단계별 경보 임계값 설정, 경보 지연 값 설정) - 경보지연 : 경보가 설정 임계값 앞뒤로 움직이면서 빈번한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보를 설정된 값 동안 계속 유지할때만 경보를 발생시키는 기능 o DB 저장 주기 관리 o 태그별 아이콘 설정 | ||
CCTV관리 | CCTV채널 | -복수개의 CCTV 영상을 하나의 웹 화면에서 동시 관제 및 PTZ 제어 | |
생장영상 | o 생장영상 촬영 시간 사용자 설정 및 자동 촬영 - PTZ 지원 CCTV의 경우 원하는 작물은 선정하면 자동으로 CCTV가 이동하여 정해진 시간에 촬영 - 촬영당시 센서값을 함께 기록하여 생장분석에 활용 - 갤러리 기능을 이용하여 일정기간내 생장영상을 자동 슬라이드 방식으로 재생 - 검색 기능 및 저장 생장영상 다운로드 기능 | ||
CCTV관리 | o CCTV의 추가, 삭제, 변경 등 장치 관리 o 프리셋 설정(프리셋 좌표가 설정되면 카메라가 해당 시간에 자동으로 이동하여 촬영. PTZ 지원 카메라만 적용) o 촬영 구역 설정(생장영상 촬영시 촬영 구역에 설치된 센서값을 자동으로 저장) o 생장영상 자동촬영 설정(Y / N 설정) | ||
사진촬영설정(시간) | |||
사진촬영설정(분) | |||
저장영상보기 | o 방범 등 영상 저장기록 검색을 위한 NVR 웹접속 인터페이스 - 접속시 NVR ID 및 PW 입력 필요 - 세부 사용법 CCTV 제조사 NVR 매뉴얼 참조 | ||
동기화 | 사이트별 연동 데이터의 범위 설정 및 동기화 | o 중앙관제시스템과 각 사이트간 연동될 정보의 관리 및 동기화 - 연동데이터 최소 관리 단위인 태그 형태로 각 사이트의 정보를 연동 - 불필요한 데이터의 연동은 삭제 기능을 통해 설정하면 해당정보는 연동대상에서 제외 | |
화면편집 | PC화면 편집 | ||
모바일화면 편집 | |||
아이콘관리 | |||
공지 | 관제 대상사이트와의 커뮤니케이션 공지 채널 | o 사이트별 공지사항을 연동하여 보여주는 기능 - 사용자에게 업무 연락, 작업 지시 등을 하는 공지사항 게시판 |
Copyright © 2024. WISE All rights reserved.